본문 바로가기

알고리즘 공부

[프로그래머스] 주식 가격 - 파이썬(Python)

문제 설명

 

 

초 단위로 기록된 주식가격이 담긴 배열 pri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가격이 떨어지지 않은 기간은 몇 초인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.

 

 


 

제한사항

 

 

  • prices의 각 가격은 1 이상 10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  • prices의 길이는 2 이상 100,000 이하입니다.

 

 


 

입출력 예

 

 

prices result
[1, 2, 3, 2, 0] [4, 3, 1, 1, 0]

 

 

입출력 예 설명

 

  • 1초 시점의 ₩1은 끝까지 가격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.
  • 2초 시점의 ₩2은 끝까지 가격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.
  • 3초 시점의 ₩3은 1초뒤에 가격이 떨어집니다. 따라서 1초간 가격이 떨어지지 않은 것으로 봅니다.
  • 4초 시점의 ₩2은 1초간 가격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.
  • 5초 시점의 ₩3은 0초간 가격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.

 

 


 

코드 설명

 

 

이중 반복문으로 해결해보았습니다. 먼저 prices의 길이인 length와 주식 가격별로 몇 초후 해당 가격이 떨어지는지 담는 배열 answer을 선언했습니다. 이때 prices의 마지막 가격은 떨어질 일이 없기 때문에 answer[-1] = 0으로 미리 넣어놓았습니다.

 

이제 이중 반복문을 통해 주식 가격이 몇 초 후에 떨어지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. prices의 어떤 인덱스 i가 있을 때, i+1 인덱스부터 탐색하여 prices[i]보다 작은 값이 있는지 탐색하는 방식입니다. 만약 있다면 j-1을, 없다면 length-1-i를 answer[i]에 담습니다.

 

 

def solution(prices):
    length = len(prices)
    answer = [0 for _ in range(length)]
    answer[-1] = 0
    
    for i in range(length-1) :
        for j in range(i+1,length) :
            if prices[j] < prices[i] :
                answer[i] = j-i
                break
        if answer[i] == 0 :
            answer[i] = length-1-i
        
    return answer

 

 

해당 코드는 O(N^2) 시간만큼 걸리기 때문에 아주 효율적인 알고리즘은 아닙니다. 원소가 더 크다면 시간이 더 오래 걸리겠죠! 이에 따라 해당 문제를 스택으로도 풀이해보았습니다.

 

 

def solution(prices):
    Stack = []
    answer = [0 for _ in range(length)]
    
    for i in range(len(prices)) :
        while len(Stack) > 0 and Stack[-1][1] > prices[i] :
            idx,_ = Stack.pop()
            answer[idx] = i-idx
        Stack.append([i,prices[i]])
   
    for i,s in Stack :
        answer[i] = len(prices) - i - 1
        
    return answer

 

 

for문 안에 while문이 들어있긴 하지만 Stack의 정점에 있는 값이 prices[i] 보다 크고 Stack이 비어있지 않을 때만 실행되기 때문에 실제 반복 수는 이중 반복문보다 훨씬 줄어듭니다.

 

유효성 검사를 비교해보면 Stack을 이용했을 때의 성능이 더 좋음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왼쪽이 이중 반복문, 오른쪽이 Stack을 이용하여 작성한 코드의 효율성 검사 결과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