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 설명
운영체제의 역할 중 하나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입니다. 이 문제에서는 운영체제가 다음 규칙에 따라 프로세스를 관리할 경우 특정 프로세스가 몇 번째로 실행되는지 알아내면 됩니다.
1. 실행 대기 큐(Queue)에서 대기중인 프로세스 하나를 꺼냅니다.
2. 큐에 대기중인 프로세스 중 우선순위가 더 높은 프로세스가 있다면 방금 꺼낸 프로세스를 다시 큐에 넣습니다.
3. 만약 그런 프로세스가 없다면 방금 꺼낸 프로세스를 실행합니다.
3.1 한 번 실행한 프로세스는 다시 큐에 넣지 않고 그대로 종료됩니다.
예를 들어 프로세스 4개 [A, B, C, D]가 순서대로 실행 대기 큐에 들어있고, 우선순위가 [2, 1, 3, 2]라면 [C, D, A, B] 순으로 실행하게 됩니다.
현재 실행 대기 큐(Queue)에 있는 프로세스의 중요도가 순서대로 담긴 배열 priorities와, 몇 번째로 실행되는지 알고싶은 프로세스의 위치를 알려주는 locati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해당 프로세스가 몇 번째로 실행되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priorities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- priorities의 원소는 1 이상 9 이하의 정수입니다.
- priorities의 원소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며 숫자가 클 수록 우선순위가 높습니다.
- location은 0 이상 (대기 큐에 있는 프로세스 수 - 1) 이하의 값을 가집니다.
- priorities의 가장 앞에 있으면 0, 두 번째에 있으면 1 … 과 같이 표현합니다.
입출력 예
priorities | location | result |
[2, 1, 3, 2] | 2 | 1 |
[1, 1, 9, 1, 1, 1] | 0 | 5 |
입출력 예 설명
예제 #2
6개의 프로세스 [A, B, C, D, E, F]가 대기 큐에 있고 중요도가 [1, 1, 9, 1, 1, 1] 이므로 [C, D, E, F, A, B] 순으로 실행됩니다. 따라서 A는 5번째로 실행됩니다.
코드 설명
priorities와 priorities의 인덱스를 담은 num을 각각 deque 형태인 Q와 I로 변환하여 시작합니다.
while문을 통해 Q에서 max값을 max_val에 저장하고 Q에서 popleft()한 값이 max_val과 같으면 프로세스가 실행되었다고 보고 answer을 증가시킵니다.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다시 Q의 맨 뒤에 append합니다. 이때 I도 마찬가지로 popleft()와 append()를 실행합니다. 만약 프로세스가 실행된 경우 idx가 주어진 location과 일치한다면 answer을 리턴함으로써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.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def solution(priorities, location):
answer = 0
num = [i for i in range(len(priorities))]
I,Q = deque(num), deque(priorities)
while Q :
max_val = max(Q)
cur = Q.popleft()
idx = I.popleft()
if cur != max_val :
Q.append(cur)
I.append(idx)
else :
answer += 1
if idx == location :
return answer
'알고리즘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주식 가격 - 파이썬(Python) (0) | 2023.09.05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방문 길이 - 파이썬(Python) (0) | 2023.09.04 |
[프로그래머스] 괄호 회전하기 - 파이썬(Python) (0) | 2023.08.30 |
[프로그래머스] 두 큐 합 같게 만들기 - 파이썬(Python) (0) | 2023.08.29 |
[프로그래머스] k진수에서 소수 개수 구하기 (0) | 2023.08.28 |